2025/07/20 4

유럽의 저탄소 농업 정책 분석: EU의 CAP(공동농업정책) 사례

농업정책에도 기후 전략이 녹아든다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목표로 움직이는 가운데, 농업은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자국의 기후 목표와 식량 안보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저탄소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 중심에는 CAP(Common Agricultural Policy, 공동농업정책)이라는 방대한 정책 시스템이 있다. CAP는 단순한 농가 보조금 체계를 넘어, 탄소 감축, 생물다양성 보존, 자원 순환형 농업 촉진까지 포함하는 다층적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본 글에서는 EU의 저탄소 농업 정책을 중심으로 CAP의 구조와 핵심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 농업과 비교해 어떤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CAP(공동농업정책..

저탄소 농업 20:00:53

에너지 자립형 저탄소 농장 만들기: 태양광 패널과 농업의 만남

농장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시대가 왔다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이 농업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 과거에는 농업이 에너지 소비의 종착지였다면, 이제는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고 활용하는 ‘에너지 자립형 농장’이 등장하고 있다.특히 태양광 패널(Solar PV, Photovoltaic) 기술은 농장의 옥상, 비가림 시설, 유휴 토지 위에 설치돼 전력을 생산하는 동시에 농작물과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농업 모델을 만들고 있다. 이 기술은 단순한 전기 공급을 넘어, 온실가스 감축, 운영비 절감, 스마트 농업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이 글에서는 태양광과 농업이 결합하는 방식을 ‘영농형 태양광’ 중심으로 살펴보고, 에너지 자립형 농장이 실제로 어떻게 구축될 수 있는지, 기술적 요소와 정책 과제까지 구체적으로 ..

저탄소 농업 15:00:12

논과 습지의 탄소흡수 기능 - 농업에서 블루카본을 실현할 수 있을까?

블루카본, 해양만의 이야기일까?‘블루카본(Blue Carbon)’은 원래 해양생태계, 특히 갯벌, 염습지, 맹그로브, 해초 숲 등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생물량이나 퇴적토 형태로 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그린카본(육상 식생 기반 탄소)’과 달리, 물과 관계된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탄소 저장 시스템을 가리킨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이 개념이 해양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논과 습지처럼 물이 고이는 농업 기반 생태계에서도 유사한 탄소 저장 메커니즘이 작동함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논은 전 세계 논농사 면적의 90% 이상이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어, 농업 기반 블루카본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생태계로 주목받고 있다.이 글에서는 블루카본의 기본 개념부터, 논과 습지의 탄소흡수 기능, 관..

저탄소 농업 10:00:50

농업 탄소 감축을 위한 토양 미생물 활용 기술

토양 미생물은 보이지 않는 탄소 저감의 열쇠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농업의 최전선에는 종자, 기계, 비료 같은 눈에 보이는 기술들이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토양 미생물’이라는 보이지 않는 존재가 탄소 감축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토양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지구 최대의 탄소 저장소 중 하나이며, 그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토양 속 수많은 미생물들이다. 이들은 유기물 분해, 탄소 고정, 질소 고정, 메탄 산화 등 다양한 생화학 반응을 통해 토양 내 탄소 순환을 제어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토양 미생물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활용하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농업의 탄소 감축 전략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본 글에서는 토양 미생물이 탄소 감축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를 활용한 실제..

저탄소 농업 04:00:58